KIM Siyeon

    © 2009-2023


    Wake, 3'35'', Single Channel Video, 2022

    The vanishing, it signifies the changes in time and space that encompass the lives of beings and objects. If we place importance on preserving and holding onto the past, we become heavily focused on the repetition of the same things. In the face of identical time, an issue of consciousness arises when we fail to create 'difference' or change. Both aspects are intertwined like a Möbius strip, and insisting on one alone becomes meaningless.

    In the end, just as cracks appear and differences arise even in repeated sameness, we glimpse the process of rifts forming in fixed ideologies in the depths of society. This calls for a change in consciousness regarding prejudices such as not interfering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but demanding change in human biases related to race, gender, class, and discrimination.

    Ultimately, the constantly recurring process of encounter and parting between discarded nature and human actions unfolds, revealing a dystopian image. This is the conclusion of the story, just like the title !, from 2022 - from the author's notes.

    Note: The provided text appears to be a literary or philosophical excerpt discussing themes of change, consciousness, and societal biases. It references the concept of a Möbius strip, a surface with only one side and one boundary, symbolizing the interconnectedness of different aspects. The text also touches upon the idea of seeking change in human attitudes while being mindful of nature's sanctity. The mention of "!"



    그래도 나는 일어서리라, 3분 35초, 싱글채널비디오, 2022



    사라지는 것. 그것은 생명 혹은 사물이 품고 있는 시간과 공간의 변화를 의미한다.
    지나온 시간을 참아내고 지킨다거나 유지하는 것에 의미를 두게 되면, 동일한 것의 반복에 상당히 집중하게 된다.
    같은 시간, 우리에게는 '차이'를 만들고 변화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의식의 문제가 발생한다.
    둘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엉켜있는 논리여서 어느 하나를 고집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결국 반복된 동일성에도 언젠가 균열이 생기고 차이를 만들어내고 변화가 생기듯이 우리는 사회 저변의 고정된 이념에서 균열의 과정을 엿본다.
    는 자연의 환경에 손대지 않는 것, 그러나 인류의 마음에 생긴 편견, 인종, 성, 빈부 차별에 관한 의식에 변화를 요청한다.
    결국 버려진 자연과 인간의 행위의 정당성 사이에서 구체적으로 또 다시 만남과 헤어짐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드러나는 디스토피아적 이미지
    이것이 <깨어나라> 라고!, 이야기의 결론처럼 이어진다. 2022. – 작가노트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