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Siyeon

    © 2009-2023

    *Artist Statement


    1


    "We nurture doubt and anxiety. In the realm of confusion,
    conversations can only be one-sided or violent.
    I can't just watch you like that."

    Here, 'we' represents people, and 'you' represents the society created by people. It attempts to convey thoughts in a simple way, much like song lyrics. This approach is likely to be applied to images as well. Ultimately, the work observes the phenomenon, magnifies or edits its appearance, and thus, we start conversations in our own language, seeking a form of dialogue that is not one-sided.

    There is a fear in the appearance of nature that cannot be visually defined. This fear creates greater terror derived from ignorance, and the imagined images grow larger, spreading another form of unease in a repetitive process.

    The work "Tremblement" (Wave, Vibration), presented in 2009, explores a world reminiscent of the eerie. It is expressed through a two-channel video, and Anne Baldassari, the former curator of the Louis Vuitton Foundation and former director of the Picasso Museum, showed deep empathy for the work.

    Focusing on keywords like anxiety, doubt, and fear, the work delves into the narratives and narratives revealed in the piece, concentrating on urban alienation, loneliness, faith and disbelief, and miscommunication. Other works like "A Quiet Life," "Doll's House," and "Terra" speak about human indifferent emotions and sadness towards disappearing entities.

    "City Rhythm" installs 25 speakers, connecting them to form a 2.5m diameter cylindrical wooden speaker. Placed at the center of the projected City Rhythm displayed on three screens, it is a responsive creation where the sound blends according to the audience's movements. It was an immersive and multimedia exhibition connected through video and sound. Sounds captured from the 25 administrative districts of Seoul pour out chaotically. This noise can resemble everyday conversations, where personal voices casually pop up while taking the subway or the bus or moving around. At this moment, we momentarily put our feet in an anonymous private space. The data of people's movement distances and coordinates are visualized as an immense number of data, pouring out like stars in the universe. When data is represented as a specific image of "movement," the trajectory of the image evokes thoughts of social communities, neighborhoods. In the final stage of the work, 3D scanning was used to explore the end of a narrow alley in Hyehwa-dong. The audience was immersed in a completely different space, which was familiar to city dwellers but also an unfamiliar place.

    In familiar yet strange places, we often lose our way.

    In the three-year-long documentary film "Apartments: Desire and Life in the City," tracked since 2016, all emotions presented in "City Rhythm" were retained. It explored spaces like Dongchon-dong Jugong Apartments or special redevelopment areas in Seoul. Places that are remembered for their psychological value may exist in space for the same reason or disappear.



    2


    How did we come to exist? Why are we here?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simplest and most complex objects and reflecting on the repetitions of life, we have discovered a cycle.

    "Expansion and diffusion, followed by isolation, alienation, and then extinction."

    We question the records of movement and the history of migration. As we closely examine the order of expansion and diffusion, we find a cyclic loop that eventually leads to stagnation, isolation, alienation, and then extinction.

    As doubt grows, anxiety follows, and suddenly we start to question whether the place we stand is really within that space. Living in the repetition of uncertainty and doubt, we find meaning in the intersection of time. This space may sometimes appear like a virtual world, but it is always derived from the real world. We are in search of the places where uneasy feelings reside, the boundary spaces where virtual and real realms blur, and we seek to experience the intersection of time and space through the overlap of images and installations.

    Continuing this train of thought, in 2021, the theme was set as "The Fascination of the Void." The focus of this work was the contrast between "movement and isolation." Life is unfolding in a new structure amid the pandemic. People who were familiar with isolation (such as freelance artists) suddenly find that many now deeply understand that sense of isolation. When the virus spread worldwide, the question posed by this project was directed towards those who exist like "islands," and the question was presented in Jeju. The exhibition titled "Solidarity of Isolation and Solitude," consisting of seven projects at the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focused on the emptiness brought by the boundary between movement and isolation. The question of emptiness caused by the busyness of movement was also not overlooked. Themes of anxiety, doubt, mistrust, and confusion were presented through installations, videos, photos, and virtual images, all connecting time and place.

    "Trees Buried Under the Name of the Forest" was an immersive media exhibition that extended the presentation, using a 70-second image to depict a virtual forest. Another work titled "Stroll" won the Grand Prize at the 2021 Central Media Art Competition.



    3


    When a foreign space is connected to a familiar time, it is no longer a strange place.
    Perfect disguise, Camouflage. The illusion of perception.
    But I will look at 'you' properly.

    The work is isolated, but at the same time, it is perfectly connected to a certain time, place, or subject. In the moments when small noises are connected, we come to understand the emotions of the other's space and the mood of that time. Life's spaces are divided and separated into our own compartments but are interconnected through sound. (Apartment residents are sensitive to noise because their personal spaces are invaded by sound.) In this way, we intrude and peer into each other's emotions and situations through images. At the same time, we expose our inner thoughts. The forms are composed of dots, but they evoke a greater sense of imagination than realistic images with perfect density. The virtual images created by illusions are gifts of imagination.

    The work in an unfamiliar place, Jangheung, will be a process of placing virtual spaces and imagined times within frames. Creating a new time and space that generates the perfect disguise, Camouflage, and the illusion of perception. Every day, we practice facing the place we call "you" properly.

    The moon is shining. Even the moon hides its full appearance (through differences in orbits, distances, and the illusion of perception) and completes its camouflage. Therefore, to properly face "you," who comes closer while appearing as a waning moon, we open our eyes wide and, to avoid any illusions today, we approach even closer, perhaps for the sake of a delightful illusion.






    1.

    “<우리>는 의심과 불안을 키우지.
    착각의 카테고리에서 대화는 일방적이거나 폭력적일 수밖에.
    그런 <너>를 그냥 두고 볼 수는 없어.“


    여기서 ‘우리’는 사람들이고 ‘너’는 사람들이 키우는 사회이다. 노래가사처럼 생각을 간단히 전달하는 방식을 습득하려고 하고 있다.
    아마도 이 방식은 이미지에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것 같다.
    결국 작업은 현상을 관찰하고 드러난 모습을 확대하거나 편집하고 그렇게 우리는 어떤 우리만의 언어로 대화를 시작하고 일방적이지 않은 형태의 문답을 찾아가고 있다.

    자연의 모습에는 시각적으로 정의 내려지지 않는 두려움이 있는데. 그 두려움은 출발선을 모르기 때문에, 무지로부터 파생된 더 큰 공포를 만들어 내고 상상의 이미지는 더 커져서 또 다른 형태의 불안함을 전파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2009년 발표한 [Tremblement_파장 진동]은 기괴함을 연상시키는 세계를 다뤘다. [파장, 진동]은 2채널 비디오로 표현하였으며 안느 발드사리(전 루이비통 재단 미술관 수석큐레이터, 전 피카소 미술관장)은 깊은 공감을 표한다는 평가를 했다.

    불안과 의심, 두려움이라는 키워드에 집중한다. 작품에서 드러나는 서사와 내러티브, 수집한 이미지는 도시인의 소외, 외로움, 믿음과 불신, 착각의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한다. [A quiet life]와 [인형의 집], [Terra] 등의 작품은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인간의 무감한 감정과 슬픔에 대해 말한다.

    [시티리듬]은 25개 스피커를 연결, 2.5m 지름의 원통형 나무 스피커를 설치. 관객의 동선에 따라 사운드가 섞이는 반응형 제작물로 3면 스크린으로 투사한 시티리듬의 가운데 위치에 설치했다. 미디어 전시에, 비디오 사운드로 연결되는 몰입형 융복합 전시였다. 서울의 25개 행정구에서 담아낸 소리가 규칙 없이 쏟아진다. 이 소음은 일상의 회화 같은 것이어서 지하철을 타거나 버스를 타거나 이동을 통해 쏟아지는 개인적인 목소리가 아무렇지도 않게 툭 튀어나오기도 한다. 이때 우리는 익명의 사적 공간에 잠시 발을 들여놓게 된다. 사람들의 이동거리, 이동좌표 같은 숫자가 우주의 별처럼 무수하게 쏟아지는 데이터를 시각화했다. 데이터가 <이동>이라는 특정 이미지로 표현될 때, 이미지의 동선은 사회적 공동체의 공간, 동네를 연상시킨다. 작품은 마무리 단계에서 3D 스캐닝을 활용한 혜화동의 골목길 끝으로 들어간다. 관객을 전혀 다른 공간 안으로 이입시켰다. 그곳은 도시인에게 익숙한 장소이지만 동시에 이면의 장소이다.
    익숙하지만 낯선 공간에서 우리는 길을 자주 잃어버린다.

    2016년부터 3년간 추적한 사적 다큐멘터리 필름 [아파트 : 도시의 욕망, 삶]에서는 시티리듬에서 선보인 모든 감정을 그대로 가져 왔다. 둔촌동 주공아파트라든가 서울의 재개발 특수 공간을 들여다보았다.
    심리적인 가치로 기억되는 장소는 공간 안에 같은 이유로 존재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2.

    우리는 어떻게 존재하게 되었을까? 왜 여기에 있는 걸까?
    가장 단순한 사물과 가장 복잡한 사물. 모든 반복된 삶의 일치에 관한 소고를 통해
    우리는 순환고리를 찾아냈어.
    [확장과 확산, 소외 그다음은 소멸]

    이동의 기록 이주의 역사에 대해 꽤 많이 질문한다. 가만히 들여다보다가 확장되고 확산되는 순서 뒤에는 정체, 고립 소외 그리고 그 다음은 소멸되는 순환고리를 발견했다.

    의심하고 그 마음이 커지면 불안해지고 그리고 어느 순간 내가 서 있는 곳이 그 장소가 과연 이 공간 안에 있기는 한 것인지 또 의심이 생기고, 불확정의 반복 속에서 우리는 살아간다. 이렇게 시간이 교차하는 곳에 우리가 의미를 짓는 장소가 있다. 그 공간은 간혹 가상의 세계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항상 실제의 세계에서 비롯된다. 불안한 마음이 머무는 곳을 찾아가고 있다. 경계의 공간. 가상의 실제의 영역이 흐트러진 공간을 이미지와 설치의 중첩을 통해 경험하는 시간과 공간을 구성하려고 한다.

    2021년 이 생각의 연장선에 세운 주제는 [공空의 매혹]이었다. 이 작업에서 집중했던 키워드는 ‘이동과 고립의 대립’이었다.
    삶은 팬데믹 구조와 함께 새로운 구도로 전개되고 있다.
    이미 오래전부터 고립이 익숙했던 사람들(프리랜서 작가라든가)은 어느새 그 고립을 상당히 깊게 이해하고 있는 다수로 존재하게 되었다.
    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잠식한 때, 이 프로젝트의 질문은 ‘섬’처럼 존재하는 사람들이었고, 이 질문을 제주에서 던져보았다. 일곱 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된 제주현대미술관에서의 전시 [고립과 고독의 연대]는 이동과 고립의 경계가 주는 허무함에 집중했다. 이동의 분주함이 주는 공허함에 대한 질문도 놓치지 않았다. 불안과 의심, 불신과 착각의 테마와 시간과 장소를 연결하는 이미지가 설치, 영상, 사진, 가상의 이미지로 소개되었다.

    [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는 실감형 미디어 전시로 연장 전시했으며, 70초 이미지로 표현한 가상의 숲, [산책]은 2021년 중앙미디어아트 공모전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3.

    낯선 공간이 익숙한 시간으로 연결되면 그곳은 더 이상 낯선 곳이 아니야.
    완벽한 위장, Camouflage. 착각의 시선
    하지만 ‘너’를 제대로 보아줄게.

    작업은 고립되어 있지만 동시에 어떤 시간, 장소 대상에 완벽하게 연결되어 있다.
    작은 소음들이 연결되는 순간 상대의 공간, 그 시간의 정서를 이해하게 된다. 삶의 공간은 각자의 칸으로 나뉘고 구분되어 있지만 소리로 연결되어 있다. (아파트 거주자들이 소음에 민감한 것은 내 영역을 소리로 침범 당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우리는 이미지로 서로의 감성, 상황을 침범하고 들여다본다. 동시에 그렇게 우리의 속내를 내보인다. 형태는 점으로 구성되지만 완벽한 밀도감을 자랑하는 실사 이미지보다 더 큰 상상을 끌어낸다. 착각이 만들어내는 가상의 이미지는 상상의 선물.

    낯선 장소, 장흥에서의 작업은 가상의 공간, 상상의 시간을 프레임 안에 넣는 과정이 될 것이다.
    완벽한 위장, Camouflage. 착각의 시선을 만들어내는 새로운 시간과 공간
    ‘너’라고 이름 지은 <우리가 사는 이 곳>을 제대로 마주 보는 연습을 매일 한다.

    달이 밝다. 달마저도 꽉 찬 달의 모습을 숨기고, (서로의 궤도, 거리의 차이, 시선의 착각을 통해) 위장술을 완성한다.
    그러므로 그믐달의 모습을 한 채로 다가오는 ‘너’를 제대로 마주하기 위해 우리는 눈을 크게 열고 오늘도 착각하지 않기 위해,
    혹은 즐거운 시선의 착각을 위해 더 가까이 다가가기로 한다.